전체 글41 치과 임플란트의 세대별 표면처리 임플란트 분야에서 가장 큰 관심은 빠른 골유착 유도로 치료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이다. 즉, 골형성에 관련된 생체물질(biomolecule)과 세포들이 임플란트 표면에 어느 정도로 친화성을 보이며 얼마나 많이 표면에 배열될 수 있는지에 따라 초기 골유착의 환경이 결정된다. 지금까지 표면처리를 통해 골유착을 향상한 방법으로 크게 거친 표면처리를 통해 골유착을 향상한 방법으로 크게 거친 표면으로 표면적을 넓혀주는 생체역학적 결합(biomechanical interlocking)과 생체세라믹 또는 친수화 표면(표면에너지 증가)으로 생체친화성 및 생체반응성을 높여 주는 생화학적 결합(biochemical bonding)이 제시되었다. 성공적인 골유착은 임플란트의 이러한 물리화학적 - 생물학적 표면 특성으로 계면에 .. 2024. 1. 10. 치과 임플란트 표면과 조직의 계면 반응 임플란트는 골 내로 식립 되면 생체와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한다. 임플란트의 성공여부는 골조직과 점막조직에 존재하는 세포들과 상호작용이 얼마나 생리적으로 조화롭게 이루어지는가에 좌우되며 신생골의 생성을 통한 골유착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한다. 저작력은 구강 내에서 임플란트 지대치와 경부(연결부)를 통하여 임플란트 조직계면에 전달되는데 이러한 하중은 관련된 조직에 분산되며 기능을 할 때의 안정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계면의 안정성과 서로 관계가 있다. 식립 된 임플란트의 계면에서는 식립 시 생물학적 반응을 시작으로 섬유성 조직유착과 골조직 유착의 두 방향으로 진행된다. 1) 임플란트의 식립 시 계면에서의 생물학적 현상 임플란트의 식립 시 악골의 피질골 및 해면골에 동시에 접촉하면서 불가피한 손상을 주게 되는.. 2024. 1. 10. 치과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재료 치과용 임플란트 재료의 일반적인 요구 조건은 1) 생물학적 적합성(biological compatibility) 2) 기계적 적합성(mechanical compatibility), 3) 기능적 적합성(functionally compatibility), 그리고 4) 구조적 실용성(structural practicality)이다. 첫 번째인 생물학적 적합성은 주변조직과의 반응을 통해 임플란트 표면의 부식, 분해 등을 유발하지 않아야 하고, 기타 생물학적 불안전성을 야기하지 않아야 한다(ISO 10993). 두 번째인 기계적 적합성은 구강 내의 저작력에 충분히 견뎌야 하며, 반복적인 저작(피로강도)에도 견뎌야 한다. 또한 주변의 골조직과 유사한 탄성계수를 확보하여 골조직과의 계면을 따라 균일한 응력 분포를 갖.. 2024. 1. 10. 치과 임플란트의 분류 1. 치과용 임플란트의 기본적인 분류 치과용 임플란트의 디자인은 지난 90년간 그 형태와 재료, 악골 내에 매식되는 정도, 및 수술방법에 따라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발전되었다. 미국 치과의사협회지에 발표된 NIH (National Institute of Health)의 인공치아 이식에 관한 보고서에서는 크게 4종류로 분류하고 있다. 고정체가 골조직 내로 들어가는 골내 임플란트(endosseous system), 골외면과 접촉하는 골막하 임플란트(subperios-teal system), 골 관통형 임플란트(transosseous), 그리고 기타로 분류하며, 기타로 분류된 치과용 임플란트는 요즘 사용하지 않는 mucosal insert와 endodontic stabilizer 등이 해당된다. 1) 골내 .. 2024. 1. 9. 이전 1 ··· 7 8 9 10 11 다음